공공데이터 활용

전국 버스·지하철 시간표와 노선도, 공공데이터로 자동 수집하기

daoni-info 2025. 7. 13. 03:48

일상을 살아가며 가장 자주 사용하는 정보 중 하나는 교통정보입니다.
언제 버스가 도착하는지, 다음 지하철은 몇 분 뒤에 오는지,
노선 변경은 없는지, 배차 간격은 어떤지 등은
단순한 정보가 아니라 시간과 효율, 안전을 좌우하는 핵심 데이터입니다.

전국 버스·지하철 시간표와 노선도 공공데이터 활용

 

하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앱 하나에 의존하거나
지하철역에 붙은 노선도를 사진으로 찍어두고 참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나마 수도권은 정보 접근성이 뛰어나지만,
지방 중소 도시나 광역 단위 지역은 실시간 정보 수집이 어렵거나 부정확한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이제는 누구나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전국의 버스와 지하철 시간표, 노선도, 실시간 도착 정보를 직접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

국토교통부, 한국교통안전공단, 지자체 교통공사 등은
정류장 위치, 노선도, 배차 시간표, 도착 예정 시간 등의 정보를
API 및 오픈 데이터 형태로 일반에게 공개
하고 있으며,
개인 블로그 운영자, 앱 개발자, 여행 콘텐츠 제작자도 이를 활용해
정보성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실제 시스템에 연동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전국 대중교통 정보 데이터를
어디서 어떻게 수집하고, 자동으로 불러오는 방법까지 상세히 설명하며,
이를 통해 실생활은 물론 콘텐츠 제작이나 웹 서비스 개발에도 응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전국 버스·지하철 정보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을까?

전국 대중교통 데이터는 크게 세 가지 공공 플랫폼을 통해 제공됩니다:

1.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

  • 국토교통부 ‘대중교통정보 표준 데이터’
  • 버스 정류장 정보, 버스 노선 정보, 도착예정시간 API
  • 지하철 노선도, 역위치, 승강장 번호 등 확인 가능

2. 국토교통부 교통정보센터 (ITS.go.kr)

  • 실시간 버스 운행 현황, 도착 예정 시간
  • 혼잡도, 배차 간격, 정류장별 버스 위치 추적
  • 전국 시외·고속버스 터미널 정보 연계

3. 지자체 교통공사 및 열린데이터광장

  • 서울교통공사, 부산교통공사, 대전도시철도 등
  • 지역별 지하철 운행 시간표, 열차 위치, 노선도 다운로드 가능
  • 수도권 버스정보시스템(BIS), 각 시도 BIS 연계 자료 활용 가능

이 데이터를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버스 또는 지하철의 첫차/막차 시간
  • 특정 노선의 평일/주말 운행 간격
  • 특정 역의 환승 정보 및 출구별 주요 시설 연결 현황
  • 주요 정류장의 정체 구간 및 실시간 혼잡도 예측

공공데이터 API를 활용해 자동으로 교통정보 수집하는 방법

공공데이터포털에 등록된 대중교통 API는
개인이 신청하면 일반적으로 하루 수천 건까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기초적인 HTML/CSS 또는 Google Sheets 지식만 있어도
자동화 수집 및 시각화가 가능합니다.

활용 순서 예시 (버스 도착 시간 API 기준):

  1. 공공데이터포털 회원가입 후 ‘버스 도착 정보 API’ 검색
    → API 활용 신청 시 즉시 발급되는 인증키(API Key)를 확보
  2. API 명세서 참고하여 파라미터 구성
  • 정류장 ID, 노선 ID, 조회 시간 등의 필수값 입력
  • XML 또는 JSON 방식 선택 가능
  1. Google Sheets 또는 앱 스크립트(GAS) 연동
  • 일정 시간마다 자동으로 호출하여 최신 데이터로 업데이트
  • 특정 정류장의 버스 도착 예상 시간만 필터링 가능
  1. 블로그 또는 웹사이트에 연동
  • iframe 또는 스크립트를 통해 실시간 데이터 시각화
  • “내 동네 버스 도착 알림”, “지하철 첫차 확인 도우미” 콘텐츠 제작

이 방식은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정보형 블로그나 지역 커뮤니티 운영자가
유용한 생활형 콘텐츠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교통정보 콘텐츠로 지역 블로그 성공 사례 만들기

경기도 구리시에 거주하는 블로그 운영자 A씨는
자신의 블로그에 ‘구리시 정류장별 버스 도착 정보’ 콘텐츠를 게시하기 위해
공공데이터포털의 실시간 도착 정보 API를 활용했습니다.

구리시 중심지 주요 정류장 5곳을 지정해
해당 노선의 버스 번호, 도착까지 남은 시간, 막차 시각 등을
Google Sheets에 자동 갱신되도록 연결한 뒤,
블로그에 iframe 형태로 삽입했습니다.

이 콘텐츠는 ‘구리 버스 실시간’, ‘구리 ○○ 정류장 시간표’ 등
지역 기반 키워드 검색에서 높은 노출을 기록하며
월간 약 5,000회 이상의 페이지뷰를 유도했고,
구글 애드센스 승인 후 안정적인 수익 모델로 발전했습니다.

이 사례는 지역 밀착형 교통정보 콘텐츠가
검색 수요 + 정보성 + 실용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좋은 예시
입니다.


대중교통 데이터 활용의 장점과 확장 가능성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대중교통 정보 콘텐츠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 정확성: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관으로부터 직접 수신
  • 자동화 가능: API 기반이므로 반복 작업 없이도 최신 정보 유지
  • 다양한 콘텐츠 확장: 지역 정보, 부동산, 여행, 출퇴근 등 다양한 콘텐츠와 결합 가능
  • 검색 최적화: “○○역 시간표”, “○○정류장 버스 정보” 등 검색 빈도 높은 키워드 확보
  • 서비스 개발 연계: 향후 간단한 앱, 지도 서비스, 챗봇 등으로 기능 확장 가능

특히 지역 기반 정보는 검색 유입이 꾸준하고,
실생활 밀접도가 높아 구글 애드센스 승인 심사에서도 실용성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버스와 지하철 정보도 이제는 ‘직접 수집하고 보여주는 시대’입니다

이제는 누군가 만들어 놓은 앱이나 블로그를 참고만 할 것이 아니라,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신만의 정보를 수집하고 직접 콘텐츠화하는 시대입니다.

대중교통 정보는 그 활용도가 높고 검색 유입 수요가 꾸준하여
정보형 블로그, 지역 서비스, 콘텐츠 플랫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치가 큽니다.

요약하자면, 전국 교통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콘텐츠화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대중교통 API 신청
    → 버스, 지하철, 정류장, 노선, 시간표 관련 데이터 확보
  2. 지역 기반 필터 적용
    → 내가 원하는 정류장, 노선, 역만 선택적으로 활용
  3. 자동화 도구 연결 (Google Sheets, GAS 등)
    → 실시간 또는 주기적 데이터 갱신
  4. 콘텐츠화 및 서비스화
    → 블로그, 커뮤니티, 앱, 위치기반 플랫폼 등에 적용